|
|
|
|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
|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
|
|
|
가슴 설레는 입학식. 북녘 어린이의 소학교(초등학교) 입학식 풍경은 잃어버린 예전 남쪽의 모습과 닮았다. 고무줄 놀이, 말타기, 썰매타기 등 노는 모양새도 익숙하다. 다만 2학년이 되면 모두 소년단에 가입하는 장면이나 4년 내내 담임 선생님이 바뀌지 않는다는 점 등이 이채롭다. 북녘 소학교 학생들의 생활을 찾아가 보자. |
|
어른들도 보는 인기 만화영화 <소년장수>, <령리한 너구리> |
|
"야! 즐거운 소풍이다." | 북녘에도 운동회와 학예회가 있다. 운동회는 1년에 3~4번 정도 열린다. 1년 중 가장 큰 행사는 2.16(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과 4.15(김일성 주석 생일)에 평양 등 대도시 중심으로 개최된다. 이 외에 6.6(소년단 창립일)과 9.5(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발표 기념일)에는 학교별로 운동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운동종목에는 이어달리기, 병끼고 달리기, 다리묶어 달리기, 물동이 이고 달리기, 꼬리잡기, 공빼앗기, 축구, 무릎싸움, 밧줄 당기기, 장애물 극복 등이 있다. 학예회(예능발표회)는 보통 7월 22일에 실시한다. 합창, 무용, 악기연주 등 전국 경연대회가 열린다. 학교에서는 운동회나 예능발표회를 위해 1~2달 전부터 선생님과 학생들이 함께 열심히 연습한다. 한편 북녘에서는 소풍을 놀이 또는 등산이라고 하는데, 1년에 봄, 가을 두 차례 간다. 준비물은 도시락 정도다.
북녘 어린이들에게도 시험은 골치 아픈 일이다. 소학교 1, 2학년 때에는 퀴즈 이외에 시험이라는 것이 특별히 없다. 3학년 때부터 학기말 시험과 학년말 시험을 치른다. 과목마다 시험을 따로 치르는 경우도 있다. 교육 평가는 학습 과정, 학습 성취, 종합 평가로 나뉜다. 학습 과정 평가인 생활 기록을 위한 평가는 학생들의 교수 내용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적인 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습 능력과 학습 태도를 본다. 학습 성취 평가는 학습 결과를 최종 확인하는 시험을 통한 평가다. 시험 공부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구답 시험과 필기 시험이 평가 방법이다. 구답 시험은 여러 문제 가운데 자신이 선택한 문제를 3~5분 동안 담임선생 앞에서 구두로 답한 뒤 보충 질문에 답변하는 것이다. 필기 시험은 45분에 걸쳐 주, 객관식 문제를 푼다. 종합 평가는 시험을 포함해 학과 토론, 실험 실습, 사회 정치 활동 등과 학습 활동에 관한 모든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성적 평정은 최우등, 우등, 보통, 낙제로 구분한다. |
|
시험 때면 북녘 어린이들도 골머리 |
|
북녘 아이들의 수업 광경 | 성적표는 학생들의 손을 거치지 않고 직접 부모님께 전달된다. 보통은 학교에서 수시로 개최하는 학부형 총회를 이용한다. 학부형 총회는 선생님이 학생 한 명 한 명의 시험성적을 비롯해 학업성적에 대한 내용, 생활태도 등을 공개하고, 이에 대해 학부형들과 토론하는 자리다. 어떤 경우에는 학교 게시판에 학생들의 성적을 붙이기도 한다. 북녘에는 낙제라는 것이 있어 시험을 잘 봐야 한다. 낙제를 받아 상급학년으로 진학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방학 때 재시험 등을 보는 창피를 당한다. 그러나 담임선생님들이 성적이 떨어지는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지도를 하기 때문에 낙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학년 진급과 유급은 학년말에 성적, 품행, 출석 일수 등을 따져 결정한다. 4학년말에는 졸업 시험을 보지만 보통 전원 졸업시킨다. 수업은 깨우쳐 주는 교육 방법을 통해 이뤄진다. 설명을 통한 교육, 토론과 논쟁을 통한 교육, 문답식 학습을 통한 교육, 시청각 교육, 실물을 통한 교육 등이다. 특히 학생들간의 토론과 논쟁, 문답식 학습방법이 강조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