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북녘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인출판사) 글/ 사진 : 민족21 |
|
1년 동안 자체 월간지인 <민족21>에 연재한 내용을 뼈대로 이 책을 엮어낸 [민족21]은 "북녘 사회 보통 사람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만나보십시오."로 시작하는 책의 머리말에서 북녘의 보통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자고 권한다. 가장 완벽한 ‘북녘 인민 생활사’는 직접 만나 눈으로, 가슴으로 느끼는 것 아닐까. 그 날을 기대하며 기획 연재 한다. |
|
|
|
가슴 설레는 입학식. 북녘 어린이의 소학교(초등학교) 입학식 풍경은 잃어버린 예전 남쪽의 모습과 닮았다. 고무줄 놀이, 말타기, 썰매타기 등 노는 모양새도 익숙하다. 다만 2학년이 되면 모두 소년단에 가입하는 장면이나 4년 내내 담임 선생님이 바뀌지 않는다는 점 등이 이채롭다. 북녘 소학교 학생들의 생활을 찾아가 보자.
"새 교복을 받아 입고 너도 나도 앞가슴에 고운 꽃송이를 단 신입생들이 만사람의 축복속에 교문으로 들어섰다." 매년 신입생이 들어오는 4월 1일이면 북의 언론들은 입학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한다. 교사와 학부모 뿐 아니라 정부의 고위관료들도 행사에 참석해 학교생활에 첫발을 내딛는 어린이들의 앞날을 축복해 준다. 학부모들과 선배들은 학교 입구부터 줄을 서서 색종이를 뿌리는 꽃보라를 연출하며 새내기들을 환영한다. 북 어린이들은 만 6살이 되면 소학교에 들어간다. 남쪽은 초등학교가 6년제지만 북은 4년제다. 또 입학식 때 처음 담임을 맡은 선생님이 계속해서 졸업 때까지 담임을 맡는다. 새 학기에 접어들면 국가에서는 학생들에게 교과서와 학용품을 준다. 우리의 경우 학용품은 각자가 알아서 구입하지만, 북의 경우는 거의 국가에서 무료로 공급해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한 학년에 학급수는 보통 8~9개 반 정도다. 농촌지역의 경우 학생수가 적은 곳은 한 학년에 1~2개 반만 있는 학교도 있다. 한 반에는 보통 30~40명 정도의 학생들이 모여 같이 공부한다. 북녘의 소학교는 약 4800여 개교, 학생은 188만여 명으로 학교 당 평균 학생수가 390여 명으로 추산된다. 참고로 1998년 현재 남쪽 초등학교는 5732개교, 학생수는 380만 명으로 학교 당 평균 학생수는 663명이다. |
|
2학년 때 소년단 입단 |
|
소년단 입단식에서 소학교 2학년생들이 손을 들어 `소년단 인사`를 하고 있다. | 소학교에는 반장이나 주번이라는 제도가 없다. 학교의 규율통제는 소년단이 한다. 남쪽의 어린이회장단과 비슷하지만 소학교 학생들은 모두 가입하게 된다는 점에서 보이스카우트나 걸스카우트와는 다르다. 소년단원들은 붉은 스카프를 맨다. 성급한 1학년 학생들은 누나, 오빠들의 스카프를 슬쩍 매보다가 꾸지람을 듣기도 한다. 북녘 어린이들은 소년단에 입단하는 것을 대단히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나이 어린 학생들에게는 고학년 선배들이 붉은 넥타이를 매고 다니는 모습이 멋져 보일 수밖에 없다. 붉은 넥타이를 매는 순간 깰학년(아직 정신적으로 깨우치지 못한 어린 학년)에서 벗어나 어른이 되어 간다는 생각 때문이기도 하다. 소년단 입단은 3차례 정도로 나눠 실시한다. 입단식 행사는 아주 성대하게 치뤄진다. 어린이들은 한 손에 붉은 표지판의 선서문을 들고 소학교 2학년 음악교과서를 통해 배운 소년단행진곡을 부르면서 입장한다. 입장을 하고 나면 선생님들과 열성자 선배들이 붉은 넥타이를 매어준다. 그리고 나서 김일성 주석의 초상화 앞에서 소년단 지도원 선생님을 따라 "나는 조선소년단에 입단하면서 원수님의 충직한 아들 딸로서 ...... 억세게 싸워나가겠습니다" 라고 선서한다. 그리고 선생님이 "사회주의 건설의 후비대가 되기 위하여 항상 준비하자!" 라고 외치면 어린이들은 "항상 준비" 라고 하며 오른손바닥을 편 채로 머리위로 세워 올리는 소년단 경례를 붙인다. TV에서 본 북녘 어린이들의 특이한 인사법이 바로 이것이다. 다시 소년단 행진곡을 부르면서 퇴장하면 입단식이 끝난다. 소년단은 학교소년단위원회와 학급분단위원회로 구성된다. 학교소년단위원회는 책임지도원, 지도원(교원)이 있고, 학생들로 구성된 단위원장, 단부위원장(2~3명), 단위원(각 반 1명) 등을 둔다. 학급분단위원회는 분단위원장, 부위원장, 위원으로 구성한다. 분단위원장은 당일 총화(생활평가)와 월례 총화 등 정치회의만 담당한다. 조직부위원장은 각종 모임의 집합, 지각, 교복 착용 검열 등과 위원들의 일을 통제한다. 남쪽의 반장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사상부위원장은 독보(읽기) 등을 통한 선동 활동을 한다. 위원은 학습위원, 위생위원 등으로 나뉘며, 남쪽의 주번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간부는 매년 한 차례 선거로 뽑게 돼 있으나 실제로는 담임교원이 임명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