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하고 싶어하는 것은 일본뿐이다
부산시는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보장하라
지난 12일 부산시민들이 일본영사관 인근에 건립하려던 강제징용노동자상이 부산시에 의해 강제적으로, 기습적으로 철거되었다.
부산시는 노동자상 건립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절차와 공론화가 부족하다고 변명한다. 말 그대로 핑계다. 시민들의 공론을 무시하고 민주주의적 절차를 어긴 것은 오히려 부산시다. 2017년부터 노동자상 건립을 위해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220여개가 뜻을 모으고 시민 8천여명이 참여해 1억원이 넘는 건립기금을 모았다. 이것보다 더 확실한 시민들의 의사가 어디 있겠는가.
시민사회단체들은 부산시, 동구청과 계속 협의했으며 인근 공원에 상을 건립하기로 합의서까지 작성했다. 그러나 부산시는 협의 자리에는 나타나지 않고 합의 내용을 인정할 수 없다더니, 급기야 몰래 장비까지 동원해 동상을 철거해간 것이다.
일본은 아직도, 단 한마디도 사과하지 않았다. 다른 나라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는 머리 숙여 사과하고 배상하면서도 한국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법적 판결도 무시하는 것이 일본이다. 지난해 대법원이 일본 전범기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법적 절차를 밟으면 한일관계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오히려 협박하는 것이 지금의 일본이다. 강제징용 재판 중에 돌아가신 피해자들의 영정 사진을 들고 배상 판결에 눈물을 흘려야했던 피해자들을 떠올린다면, 그들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이렇게 철거할 수는 없다.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하고 싶어하는 것은 일본이다. 식민지 역사를 감추고 싶어하고, 강제징용 사죄배상 요구를 불편해하는 것 역시 가해자인 일본이다. 부산시는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국민들 대신, 가해자 일본의 눈치를 보며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한 것이다.
부산시는 일본 정부가 아니라 부산 시민들, 국민들의 눈치를 똑똑히 보아야 한다. 지금 국민들이 부산을 지켜보고 있다. 몰래 훔쳐가듯 동상을 철거하고 시민들의 뜻을 외면하는 부산시의 행위 역시 역사적으로 기록될 것이다.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보장해야 한다. 그것이 역사앞에 올바른 길이고, 국민들의 뜻이다.
2019년 4월 15일
(사)겨레하나
[성명]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하고 싶어하는 것은 일본뿐이다
부산시는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보장하라
지난 12일 부산시민들이 일본영사관 인근에 건립하려던 강제징용노동자상이 부산시에 의해 강제적으로, 기습적으로 철거되었다.
부산시는 노동자상 건립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절차와 공론화가 부족하다고 변명한다. 말 그대로 핑계다. 시민들의 공론을 무시하고 민주주의적 절차를 어긴 것은 오히려 부산시다. 2017년부터 노동자상 건립을 위해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220여개가 뜻을 모으고 시민 8천여명이 참여해 1억원이 넘는 건립기금을 모았다. 이것보다 더 확실한 시민들의 의사가 어디 있겠는가.
시민사회단체들은 부산시, 동구청과 계속 협의했으며 인근 공원에 상을 건립하기로 합의서까지 작성했다. 그러나 부산시는 협의 자리에는 나타나지 않고 합의 내용을 인정할 수 없다더니, 급기야 몰래 장비까지 동원해 동상을 철거해간 것이다.
일본은 아직도, 단 한마디도 사과하지 않았다. 다른 나라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는 머리 숙여 사과하고 배상하면서도 한국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법적 판결도 무시하는 것이 일본이다. 지난해 대법원이 일본 전범기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법적 절차를 밟으면 한일관계에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오히려 협박하는 것이 지금의 일본이다. 강제징용 재판 중에 돌아가신 피해자들의 영정 사진을 들고 배상 판결에 눈물을 흘려야했던 피해자들을 떠올린다면, 그들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이렇게 철거할 수는 없다.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하고 싶어하는 것은 일본이다. 식민지 역사를 감추고 싶어하고, 강제징용 사죄배상 요구를 불편해하는 것 역시 가해자인 일본이다. 부산시는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국민들 대신, 가해자 일본의 눈치를 보며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철거한 것이다.
부산시는 일본 정부가 아니라 부산 시민들, 국민들의 눈치를 똑똑히 보아야 한다. 지금 국민들이 부산을 지켜보고 있다. 몰래 훔쳐가듯 동상을 철거하고 시민들의 뜻을 외면하는 부산시의 행위 역시 역사적으로 기록될 것이다. 부산시는 지금이라도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보장해야 한다. 그것이 역사앞에 올바른 길이고, 국민들의 뜻이다.
2019년 4월 15일
(사)겨레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