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는 국가의 책임이다!
피해자 명예훼손 처벌을 위한 '위안부'피해자법 개정을 촉구한다!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 발의 국회 기자회견
2022년 11월 10일, 국회에서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을 발의하는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개정 법안은 김상희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남윤인순, 이수진, 이재정, 홍익표 의원 등 28명의 국회의원이 공동 발의했습니다. 또한 법 개정을 촉구하는 서명에 6,634명의 개인과 141개 단체가 동참했습니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훼손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는 마땅히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한 제도적 구제 조치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제는 국회가 나서야 합니다. 겨레하나도 법이 잘 개정되어 역사왜곡세력들이 제대로 처벌받을 때까지 함께 하도록 하겠습니다.
◎ 일시 : 2022년 11월 10일(목) 9시40분
◎ 장소 : 국회 소통관
참석자 :
▸(국회의원) 김상희, 남인순, 최혜영, 김홍걸
▸(시민단체) 이나영(정의기억연대 이사장),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이연희(겨레하나 사무총장), 이경희(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대표), 김민문정(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 김정수(평화를만드는여성회 대표), 허수경(평화나비네트워크 대표), 조영선(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회장), 안김정애(기지촌여성인권연대 공동대표)
법안 공동발의 의원 : 강민정, 강준현, 강훈식, 김민철, 김상희, 김승원, 김정호, 김철민, 김홍걸, 남인순, 문정복, 서영교, 신정훈, 윤건영, 이명수, 이수진, 이원욱, 이재명, 이재정, 이탄희, 인재근, 정성호, 정춘숙, 정태호, 정필모, 최혜영, 한정애, 홍익표
연명단체
▸대한민국 (106)
(사)겨레하나, (사)인권희망강강술래, (사)정의.평화.인권을위한양심수후원회, (사)서울여성노동자회, (사)안양여성의전화, (사)우리민족, (사)평화어머니회, (사)포항여성회, (사)햇살사회복지회 , 가톨릭수도회, 경기평화교육센터, 극단고래, 기간제교사노조, 김해겨레하나, 까리따스수녀회수련원, 다른세상을향한연대, 대한불교조계종사회노동위원회, 대한예수교장로회백수교회, 두레방, 두레생활협동조합, 멸종반란가톨릭, 몽양 아카데미, 민생경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광주지부, 민중가요몸짓패하랑 , 박승희정신계승사업회, 부천시민연합, 빈들공동체교회, 사랑의씨튼수녀회, 사천여성회, 상생과상상의인권공동체, 생명평화포럼, 서울겨레하나, 성가소비녀회의정부관구, 성가소비녀회인천관구, 성남평화의소녀상지킴이, 성노동자해방행동주홍빛연대차차,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성소수자부모모임, 성심수녀회, 수원청소년성인권센터, 수원평화나비, 시민모임 독립, 십대여성인권센터, 안병하기념사업회, 안양평화의소녀상네트워크, 언론소비자주권행동, 여성인권지원센터'살림', 역사NGO포럼, 예수살기, 예수성심시녀회, 올리베따노성베네딕도수녀회, 울산겨레하나, 울산새생명교회, 원주시민연대원주평화의소녀상시민모임, 인보성체수도회, 인천대학교사다리,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전교가르멜수녀회, 전교가르멜청원소,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고흥지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남이주여성상담소, 전북지역대학생겨레하나, 제천간디학교, 젠더정치연구소여.세.연, 조선학교와함께하는사람들몽당연필, 주권자전국회의, 중앙대학교여성주의교지편집위<녹지>, 중앙대학교여성주의학회<여백>, 진보당, 차리다 스튜디오,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창작21작가회, 청암교회, 통일광장,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평택여성인권상담센터품,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평화비경기연대, 평화시민네트워크,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여성위원회, 한국기독교장로회여신도회전국연합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신학자협의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진보연대, 한국천주교남자수도회사도생활단장상협의회, 한베평화재단, 해봄, 행동하는지역공동체동서울시민의힘.
▸해외 (35)
BC ALPHA (Association for Learning & Preserving the History of WWII in Asia), Kaisa Ka(Unity of Women for Liberation, Phils) , KAN-WIN , S.P.Ring세계시민연대, 가와사키로부터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시민의 모임(川崎から日本軍「慰安婦」問題の解決を求める市民の会), 노래 노 카이(Nore no Kai), 더좋은세상뉴질랜드한인모임, 미주한인우리세상(Korean Podcast in America), 사람사는세상오타와, 산서성 밝히는 모임(山西省明らかにする会), 세계민주연합, 세월사람평화해외연대 파리, 세월사랑평화해외연대(Korean People Action), 세월호를기억하는토론토사람들(Sewol Toronto), 시드니평화의소녀상연대(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시애틀늘푸른연대, 우리는해외독립군이다 해외연대 파리(ous somme Resistants etrangers global networks ,Paris), 우리는해외독립군, 워싱턴희망나비(Washington Butterfly for Hope), 위안부문제해결올연대사무국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事務局ネットワーク), 위안부문제를생각하는모임·고베(「慰安婦」問題を考える会・神戸), 일본군<위안부>피해여성들과함께걸어가는 오사까코베한신연락회, 일본군「위안부」문제를기억・계승하는모임・시가(日本軍「慰安婦」問題を記憶・継承する会・滋賀), 일본군'위안부' 문제·간사이 네트워크(日本軍「慰安婦」問題・関西ネットワーク),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전국행동(日本軍「慰安婦」問題解決全国行動) , 일본기독교단홋카이교구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한프로젝트팀(日本基督教団北海教区日本軍「慰安婦」問題の解決をめざすプロジェクトチーム), 주한군인군속(GUNGUN) 재판의요구실현을지원하는모임(在韓軍人軍属(GUNGUN)裁判の要求実現を支援する会 古川 雅基), 토론토민주포럼, 한일민중연대전국네트워크(日韓民衆連帯全国ネットワーク), 함께맞는비, 호주한인교육문화센터(Korean Cultural Centre Inc.), 희망씨앗기금(希望のたね基金)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보호는 국가의 책임이다!
피해자 명예훼손 처벌을 위한 '위안부'피해자법 개정을 촉구한다!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 발의 국회 기자회견
2022년 11월 10일, 국회에서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을 발의하는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개정 법안은 김상희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남윤인순, 이수진, 이재정, 홍익표 의원 등 28명의 국회의원이 공동 발의했습니다. 또한 법 개정을 촉구하는 서명에 6,634명의 개인과 141개 단체가 동참했습니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훼손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는 마땅히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한 제도적 구제 조치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제는 국회가 나서야 합니다. 겨레하나도 법이 잘 개정되어 역사왜곡세력들이 제대로 처벌받을 때까지 함께 하도록 하겠습니다.
◎ 일시 : 2022년 11월 10일(목) 9시40분
◎ 장소 : 국회 소통관
참석자 :
▸(국회의원) 김상희, 남인순, 최혜영, 김홍걸
▸(시민단체) 이나영(정의기억연대 이사장),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이연희(겨레하나 사무총장), 이경희(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대표), 김민문정(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 김정수(평화를만드는여성회 대표), 허수경(평화나비네트워크 대표), 조영선(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회장), 안김정애(기지촌여성인권연대 공동대표)
법안 공동발의 의원 : 강민정, 강준현, 강훈식, 김민철, 김상희, 김승원, 김정호, 김철민, 김홍걸, 남인순, 문정복, 서영교, 신정훈, 윤건영, 이명수, 이수진, 이원욱, 이재명, 이재정, 이탄희, 인재근, 정성호, 정춘숙, 정태호, 정필모, 최혜영, 한정애, 홍익표
연명단체
▸대한민국 (106)
(사)겨레하나, (사)인권희망강강술래, (사)정의.평화.인권을위한양심수후원회, (사)서울여성노동자회, (사)안양여성의전화, (사)우리민족, (사)평화어머니회, (사)포항여성회, (사)햇살사회복지회 , 가톨릭수도회, 경기평화교육센터, 극단고래, 기간제교사노조, 김해겨레하나, 까리따스수녀회수련원, 다른세상을향한연대, 대한불교조계종사회노동위원회, 대한예수교장로회백수교회, 두레방, 두레생활협동조합, 멸종반란가톨릭, 몽양 아카데미, 민생경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광주지부, 민중가요몸짓패하랑 , 박승희정신계승사업회, 부천시민연합, 빈들공동체교회, 사랑의씨튼수녀회, 사천여성회, 상생과상상의인권공동체, 생명평화포럼, 서울겨레하나, 성가소비녀회의정부관구, 성가소비녀회인천관구, 성남평화의소녀상지킴이, 성노동자해방행동주홍빛연대차차, 성매매문제해결을위한전국연대, 성소수자부모모임, 성심수녀회, 수원청소년성인권센터, 수원평화나비, 시민모임 독립, 십대여성인권센터, 안병하기념사업회, 안양평화의소녀상네트워크, 언론소비자주권행동, 여성인권지원센터'살림', 역사NGO포럼, 예수살기, 예수성심시녀회, 올리베따노성베네딕도수녀회, 울산겨레하나, 울산새생명교회, 원주시민연대원주평화의소녀상시민모임, 인보성체수도회, 인천대학교사다리,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전교가르멜수녀회, 전교가르멜청원소,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고흥지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남이주여성상담소, 전북지역대학생겨레하나, 제천간디학교, 젠더정치연구소여.세.연, 조선학교와함께하는사람들몽당연필, 주권자전국회의, 중앙대학교여성주의교지편집위<녹지>, 중앙대학교여성주의학회<여백>, 진보당, 차리다 스튜디오, 참의료실현청년한의사회, 창작21작가회, 청암교회, 통일광장,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평택여성인권상담센터품,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평화비경기연대, 평화시민네트워크,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여성위원회, 한국기독교장로회여신도회전국연합회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신학자협의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진보연대, 한국천주교남자수도회사도생활단장상협의회, 한베평화재단, 해봄, 행동하는지역공동체동서울시민의힘.
▸해외 (35)
BC ALPHA (Association for Learning & Preserving the History of WWII in Asia), Kaisa Ka(Unity of Women for Liberation, Phils) , KAN-WIN , S.P.Ring세계시민연대, 가와사키로부터 일본군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시민의 모임(川崎から日本軍「慰安婦」問題の解決を求める市民の会), 노래 노 카이(Nore no Kai), 더좋은세상뉴질랜드한인모임, 미주한인우리세상(Korean Podcast in America), 사람사는세상오타와, 산서성 밝히는 모임(山西省明らかにする会), 세계민주연합, 세월사람평화해외연대 파리, 세월사랑평화해외연대(Korean People Action), 세월호를기억하는토론토사람들(Sewol Toronto), 시드니평화의소녀상연대(Friends of “Comfort Women” in Sydney), 시애틀늘푸른연대, 우리는해외독립군이다 해외연대 파리(ous somme Resistants etrangers global networks ,Paris), 우리는해외독립군, 워싱턴희망나비(Washington Butterfly for Hope), 위안부문제해결올연대사무국네트워크(「慰安婦」問題解決オール連帯事務局ネットワーク), 위안부문제를생각하는모임·고베(「慰安婦」問題を考える会・神戸), 일본군<위안부>피해여성들과함께걸어가는 오사까코베한신연락회, 일본군「위안부」문제를기억・계승하는모임・시가(日本軍「慰安婦」問題を記憶・継承する会・滋賀), 일본군'위안부' 문제·간사이 네트워크(日本軍「慰安婦」問題・関西ネットワーク),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전국행동(日本軍「慰安婦」問題解決全国行動) , 일본기독교단홋카이교구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한프로젝트팀(日本基督教団北海教区日本軍「慰安婦」問題の解決をめざすプロジェクトチーム), 주한군인군속(GUNGUN) 재판의요구실현을지원하는모임(在韓軍人軍属(GUNGUN)裁判の要求実現を支援する会 古川 雅基), 토론토민주포럼, 한일민중연대전국네트워크(日韓民衆連帯全国ネットワーク), 함께맞는비, 호주한인교육문화센터(Korean Cultural Centre Inc.), 희망씨앗기금(希望のたね基金)